주역 64괘, 네번째로는 '산수몽'을 알아보겠습니다.

<괘사>
蒙, 亨.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初筮告, 再三瀆, 瀆則不告, 利貞.
몽괘는 형통하다. 내가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가 나를 찾는 것이다. 처음 묻거든 알려 주지만 두 번 세 번 물으면 모독하는 것이다. 모독하면 알려 주지 않으니, 자신을 바르게 지키는 것이 이롭다.
<효사>
初六, 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 吝.
초육효,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는 초기에는 형벌을 가하듯이 엄격하게 하는 것이 이롭다. 그러고 나면 속박하고 있던 차꼬와 수갑을 벗겨 주여야 하니, 그대로 나아간다면 부끄럽기 때문이다.
九二, 包蒙, 吉. 納婦, 吉, 子克家.
구이효, 어리석음을 포용해 주면 길하다. 부인의 말도 받아들이면 길할 것이니, 자식이 집안일을 잘하는 것이다.
六三, 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육삼효, 이런 여자에게 장가들지 말아야 한다. 돈 많은 남자를 보고 자기 몸을 지키지 못하니, 이로울 바가 없다.
六四, 困蒙, 吝.
육사효, 어리석음에 빠져 곤란을 겪게 되니 부끄럽다.
六五, 童蒙, 吉.
육오효, 어려서 잘 알지 못하는 것이라 길하다.
上九, 擊蒙. 不利爲寇, 利禦寇.
상구효, 어리석음을 쳐서 일깨워 주는 것이다. 도적이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 도적을 막는 것이 이롭다.
주역 64괘, 네번째로는 '산수몽'을 알아보겠습니다.
<괘사>
蒙, 亨.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初筮告, 再三瀆, 瀆則不告, 利貞.
몽괘는 형통하다. 내가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가 나를 찾는 것이다. 처음 묻거든 알려 주지만 두 번 세 번 물으면 모독하는 것이다. 모독하면 알려 주지 않으니, 자신을 바르게 지키는 것이 이롭다.
<효사>
初六, 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 吝.
초육효,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는 초기에는 형벌을 가하듯이 엄격하게 하는 것이 이롭다. 그러고 나면 속박하고 있던 차꼬와 수갑을 벗겨 주여야 하니, 그대로 나아간다면 부끄럽기 때문이다.
九二, 包蒙, 吉. 納婦, 吉, 子克家.
구이효, 어리석음을 포용해 주면 길하다. 부인의 말도 받아들이면 길할 것이니, 자식이 집안일을 잘하는 것이다.
六三, 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육삼효, 이런 여자에게 장가들지 말아야 한다. 돈 많은 남자를 보고 자기 몸을 지키지 못하니, 이로울 바가 없다.
六四, 困蒙, 吝.
육사효, 어리석음에 빠져 곤란을 겪게 되니 부끄럽다.
六五, 童蒙, 吉.
육오효, 어려서 잘 알지 못하는 것이라 길하다.
上九, 擊蒙. 不利爲寇, 利禦寇.
상구효, 어리석음을 쳐서 일깨워 주는 것이다. 도적이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 도적을 막는 것이 이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