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토끼해 의미와 뜻 살펴보기

 

감은토끼해-의미
감은토끼해 의미 알아보기

 

202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검은토끼해라고 불리는 데요. 매년 그 해를 상징하는 동물이 이렇게 나옵니다. 그렇다면 2023년은 왜 검은 토끼의 해라고 할까요? 이것은 계묘년인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2023년을 육십갑자로 풀었을 때 계묘년이 됩니다. 올해가 계묘년이라고 하니까 그냥 그런가보다 할 수도 있지만 왜 계묘년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게 나온 의미와 뜻을 알게 되면 달력을 보지 않고서도 매년 어떤 해인지 그리고 그 해를 상징하는 동물이 무엇인지 손쉽게 알게 됩니다.

 

계묘년이라는 용어는 명리학을 통해 그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사주팔자와도 관련이 있는데요. 우리가 신년운세를 보러갈 때 살펴보게 되는 사주팔자가 바로 명리에서 나오는 글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사주팔자는 위에 네 글자, 아래 네 글자 이렇게 해서 8개의 글자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윗부분은 천간이라고 부르고, 아랫부분은 지지라고 부릅니다.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이렇게 10개의 글자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지지는 우리가 흔히 아는 십이지신으로,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렇게 12개의 글자로 되어 있습니다.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의 글자가 서로 맞물려 사주팔자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새해가 어떤 해인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됩니다. 갑자, 을축, 병인... 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렇게 순서대로 가다보면 총 60번을 돌게 된 후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환갑이 60세인 이유도 이렇게 매년 달라지는 해를 60번 전부 돌았기 때문에나온 것이기도 합니다. 

 

이제 왜 계묘년이라 부르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따지면 내년은 무슨 해가 될까요? 앞에는 '계' 다음에 다시 처음인 '갑'으로 돌아가게 되고, 뒤에는 '묘' 다음이니까 '진'이 오게 됩니다. 그래서 내년 2024년은 갑진년이 됩니다. 작년 2022년이 임인년인 것도 이러한 원리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계묘년에서 거꾸로 한 글자씩 가면 되니까요.

 

그렇다면 계묘년이 왜 검은토끼해가 된 걸까요? 이는 명리에서 나오는 천간과 지지의 속성 때문입니다. 앞서 살펴본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는 각각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속성 중 천간에서는 각각 의미하는 색이 있습니다. 갑을은 청색, 병정은 적색, 무기는 황색, 경신은 흰색, 임계는 흑색입니다. 지지는 우리가 잘 아는 십이지신의 동물과 연결시킵니다. 자는 쥐, 축은 소, 인은 호랑이, 묘는 토끼, 진은 용, 사는 뱀, 오는 말, 신은 원숭이, 유는 닭, 술은 개, 해는 돼지가 됩니다.

 

따라서 계묘년의 경우, '계'는 검은색을 의미하고, '묘'는 토끼입니다. 이를 연결시키면 계묘년은 검은토끼해가 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보면 내년이 어떤 해인지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갑진년에서 '갑'은 청색이고 '진'은 용입니다. 그래서 내년은 푸른용의 해가 되는 것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