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1.5도 특별보고서의 의미와 한국의 과제"를 주제로 공동토론회가 열렸습니다. 3시간여에 걸쳐 진행된 토론회는 여러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하고 환경부의 기후관련 담당공무원도 참석하여 지난 10월 1일부터 5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열린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이 채택한 특별보고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특별보고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내로 만들자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 그 내용 자체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최근 2030년 온실가스 감축로드맵을 수정, 보완하고 탈핵-탈석탄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 정부와 사회에도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자 오늘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토론회는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해보면, 이산화탄소의 변화와 기온의 변화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서 기온도 상승하고 있고, 이산화탄소는 한번 배출되면 끊임없이 지속되어 남기 때문에 온실효과를 일으킨다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산화탄소가 증가함에 따라 폭염이나 한파 등 이상재해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기후변화는 가뭄 등을 일으켜 식량위기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를 겪고 있는 현재에 적응하는 것은 우리 세대의 책임이지만 앞으로의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것은 다음 세대에 대한 책임이라고 하였습니다. 


IPCC가 목표로 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 1.5도 이내가 가능하려면 단순히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환경부에서 나온 기후관련 공무원은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해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크게 걸려 있고 정부 간에도 환경부와 산업부 사이에서 충돌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을 균형있게 조절하고자 하지만 쉽지 않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환경부가 미리부터 균형을 생각하고 몸을 사릴게 아니라 확실한 입장과 강력한 정책을 가지고 밀고 나갈 필요가 있다고 단호하게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공감이 되었습니다. 균형을 핑계로 애매한 입장을 취한다면 결국 제대로된 정책을 펴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많은 시민단체들이 참여하여 열린 공동토론회는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공유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향과 실천방안을 모색하면서 의견을 모으고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렇게 모아진 의견이 잘 수렴되어 정부정책과 각 환경단체의 향후 행보에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